728x90
반응형
알테오젠의 현재 기술이전료는 계약 조건 및 단계별 마일스톤에 따라 변동될 수 있어 정확한 현재 시점의 총 기술이전료를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최근 주요 기술이전 계약들을 통해 그 규모를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주요 기술이전 계약 현황:
- 2025년 3월: 아스트라제네카와 최대 2조 원 규모의 피하주사 제형(ALT-B4) 기술이전 계약 체결. 계약금과 개발, 규제, 판매 관련 마일스톤 및 판매 로열티 포함.
- 2024년 11월: 일본 다이이찌산쿄에 약 4,000억 원 규모의 항체-약물접합체(ADC) 피하주사 제형 개발 기술(ALT-B4) 이전 계약 체결. 계약금, 마일스톤, 판매 로열티 포함.
- 2020년 6월 및 2024년: MSD(미국 머크)와 총 5조 원 이상의 피하주사 제형 기술(ALT-B4) 이전 계약 체결. 계약금 및 단계별 마일스톤 포함.
주요 기술이전료 특징:
- 계약금 (Upfront Payment): 계약 체결 시 받는 일회성 금액입니다.
- 마일스톤 (Milestone Payment): 임상 개발, 허가, 상업화 등의 특정 단계 달성 시 받는 금액입니다.
- 판매 로열티 (Sales Royalty): 제품 판매액의 일정 비율로 받는 금액입니다.
총 기술이전 계약 규모:
최근 보도들을 종합해 보면, 알테오젠의 누적 기술이전 계약 규모는 약 9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MSD, 아스트라제네카, 다이이찌산쿄 등 글로벌 빅파마들과의 계약을 통해 확보한 금액입니다.
따라서 현재 알테오젠이 확보한 기술이전료는 계약금, 마일스톤, 그리고 향후 발생할 판매 로열티를 모두 합산할 경우 상당한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현재 누적 기술이전 수익은 기업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728x90
반응형